개발자 Study 4

네트워크 기본 개념(Backend LoadMap)

네트워크(Network) 📌 네트워크란?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들을 자원이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통신망으로 연결한 것을 의미 노드(node)와 링크(like)가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되지 않은 집합체를 의미 전송 매체로 서로 연결된 시스템을 의미 📌 네트워크 활용의 장단점 1) 장점 모든 종류의 물리적 및 논리적 자원을 공유할 수 있으므로 자원 활용이 극대화 병렬 처리가 가능해지고 성능이 향상 1) 단점 데이터의 중복 저장이 가능하므로 데이터 복구가 용이하고 신뢰성이 향상되지만 일관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 컴퓨터가 누구나 손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보안 문제 발생 가능성이 증가 📌 네트워크 분류 LAN(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통신망 - 같은 건물이나 캠퍼스 같은 좁은 공간에서 ..

개발자 Study 2023.09.22

도메인 이름이란?

📌도메인 이름이란? - 사람들이 원하는 사이트에 방문하기 위해 브라우저에서 입력하는 주소를 말합니다. 마치 지문처럼 특정 웹사이트는 각각 고유한 도메인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동일한 이름을 다른 웹페이지에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도메인은 온라인상 위치를 나타내는 인터넷 프로토콜(IP)에 접근하기 위한 인간 친화적인 방식으로 만들어졌습니다. IP 주소는 0부터 255까지의 10진법 숫자를 마침표로 구분한 숫자 문자열로 모든 컴퓨터에 할당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무작위로 보이는 일련의 숫자 문자열은 컴퓨터가 기억하고 이해하기에는 적합하지만 사람들은 기억하기 쉬운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ex. google.com의 IP 주소: 173.194.121.32) 📌도메인 이름과 URL의 차이점은? ..

개발자 Study 2023.08.17

DI & IoC / 스택 & 큐 (Study 2회차)

1. DI & IoC # DI 객체 간 의존 관계를 개발자가 설정해두기만 하면 객체의 의존성을 개발자가 아닌 외부(IoC)에서 주입함으로써 객체 간의 결합도를 약하게 해 주면 유지보수가 좋은 코드를 만들어 준다. 1) 필드 주입 : private으로 클래스를 선언하여,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의존성을 주입한다. 2) 수정자 주입 : set method를 구현하여 의존성을 주입한다. 3) 생성자 주입 : 생성자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한다. 객체 생성 시점에 Bean을 주입하여, 컴파일 타임에 의존성이 주입되지 않아 발생할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필드 주입과 수정자 주입의 경우 순환 참조를 일으킬 수 있어 권고하는 방식은 생성자 주입이다. # IoC 의존할 메소드나 객체의 호출을 개발자가 아닌..

개발자 Study 2023.01.04

HTTP & HTTPS / RDS (Study 1회차)

HTTP & HTTPS 1. HTTP와 HTTPS 차이 HTTP HTTPS 둘 다,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웹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인터넷 브라우저 사이에 문자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규약으로서, 웹서버와 브라우저 간 암호화 된 연결을 설정하는 표준 보안 기술이다. HTTP - 보안성이 약하다. HTTPS - 더 안전하며 고급버전이다. SSL(Secure Socket Layer)를 의미하는 것으로 주고 받는 정보가 암호화되어 있음을 뜻한다. HTTP보다 HTTPS의 속도가 더 느리다, 하지만 속도차이는 사용자로서는 못 느낄 정도다. 2. 장단점 HTTP - 장점: 접속 도중 끊기더라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필요가 없어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 장점이 있어 일반 홈페이지의 대다수가 이러한 HTTP로 시작되며 우리나라 포..

개발자 Study 2022.12.27